건강검진/진료/재활 등 의료서비스 제공
“지역 내 장애인 건강주치의 기관과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, 장애인과 건강주치의를 연계하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”
서비스 유형 및 내용
가로로 스크롤 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.

장애인 건강주치의 서비스 유형 및 내용.
일반 건강관리
대상자, 모든 장애 유형별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
역할, 만성질환 등 전반적 건강관리(질병예방, 만성질환관리, 건강증진 프로그램 제공 등)
주장애관리
대상자, 장애의 정도가 심한 지체,뇌병변,시각장애인
역할, 지체,뇌병변,시각장애 전문관리(장애상태 개선 및 유지, 합병증 예방 및 치료, 사회복귀 돌봄 등)
통합관리
대상자, 장애의 정도가 심한 지체,뇌병변,시각장애인
역할, 일반건강관리와 주장애관리
서비스, 포괄평가 및 계획 수립(연 1회), 중간점검(연 1회), 교육,상담(연 8회), 비대면 환자관리(월 1회), 방문서비스(필요시 연 12회)
비용
건강보험은 진료비 총액의 10% 본인부담, 차상위 및 의료급여는 본인부담금 면제, 단,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서비스 외에 기존 진료(진찰료, 투약료 등)에 대한 비용은 종전과 동일하게 부담
-
장애인
-
장애인 건강주치의
의료기관 찾기 -
본인이 이용할
건강주치의 직접선택 -
선택한 건강주치의(의료기관)
상담 후 이용 신청
-
장애인 건강주치의
-
건강주치의
-
중간점검
(필요시 진행) -
서비스 제공
-
포괄평가 및 계획수립
-
등록
-
가로로 스크롤 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.
사업대상 | 서울시 남부권에 거주하며 만성질환 또는 장애에 대한 건강관리가 필요한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|
---|---|
사업내용 | 지역 내 장애인 건강주치의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의료서비스 연계 |
관련문의
의료지원팀 02) 870-2072